2010/04/09 19:19

[자료]지문과 성격 ┗인터넷교육학문

*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왼손 엄지의 문형이 주인격적 성향을 나타낸다고 보면 된다. 반대로 왼손잡이일 경우 오른손엄지의 문형이 주인격적 성향을 나타낸다. 왼손 엄지를 기준으로 하고, 오른손의 엄지와 양손 검지에 나타난 지문의 유형을 참고해 보면 된다.


         

[ 두형문 ]                             [ 정기문 ]



            

[쌍기문 ]                                   [ 반기문 ]          



[ 호형문 ]

 

1. 지문 유형에 따른 성향별 특징

호형문

 

기본적으로 온화하고 안정적이지만 도전정신은 크지 않다. 따라서 체계적인 지도와 규범으로 이끌어주어야 한다.

기본 특질 : 호형문의 기본적인 특징은 온화하고 안정적이며 인정이 많고, 보수적이며 엄격한 편이면서도 융합을 잘하는 성향이다. 정해진 계획이 갑작스럽게 변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개인의 사생활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몇몇 절친한 사람들과의 깊이 있는 교유를 선호한다. 충성심이 뛰어나지만 도전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지도자적 자질 역시 약한 편이다. 어떤 일이든지 지시와 규칙에 의해 실행하길 원하며, 조건이 명확한 상황에서 집행 능력을 발휘한다. 학습에 대한 반응은 매우 양호하지만, 자극의 여부에 의해 상대적인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성격상의 장점 : 안정감이 높고 학식이 풍부하며 깊게 생각하는 편이다. 위기에 직면했을 때 차분히 대응하며, 예의 바르고 독립심이 강하며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삶을 선호한다.
성격상의 단점 : 어떤 강렬한 느낌을 두려워하고 갑자기 일어난 돌발상황에 두려움을 느낀다. 사생활이 침해당하는 것을 꺼려하며, 만족스럽지 못한 환경 혹은 공허한 느낌에 대해 불안해한다. 창조력과 열정을 발휘하는 능력이 비교적 풍부하지 못하다.
성장시키는 방법 : 스스로 내린 결정이 성취되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본인의 감정을 마음에만 담아두지 말고 밖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내면세계에 대해 알고자 하는 것을 스트레스나 사생활 침해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 이런 아이에게는 ‘너는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일도 해낼 수 있다’고 인정해 주고, 봉사활동 내지는 자원봉사에 적극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또 단체활동에 참여해 자신의 의사를 발표하고, 자신에게 일어난 일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
대화 요령 : 명확한 지시 내지는 정확한 내용을 표명해야 한다. 과장된 표현이나 사실이 아닌 것을 말했을 경우 쉽게 역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안정감과 공정함과 진실성을 강조해야 한다. 분명하지 않거나 사전에 계획된 일이 아닐 경우에는 쉽게 내면의 저항을 일으킬 수 있다. 친절하게, 규범적·규칙적으로 이끌어가는 것이 가장 적합한 대화 요령이다.

 

 

정기문

 

감수성이 풍부하고 창의적이지만 충동적이다. 따라서 끊임없는 존중과 관심을 쏟아주어야 한다.

기본 특질 : 감성적이며 감수성이 풍부하고 정서적 반응이 비교적 직선적이다. 자유스러운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며 매우 민감하다. 단체활동과 융화를 중시하지만, 어떤 일을 결정할 때 충동적으로 하는 성향이 있다. 성격이 급하고 잘 기다리지 못하는 편이다.
성격상의 장점 : 감수성이 강하고 매우 열정적인 사람으로서, 창조력이 뛰어나고 다른 사람의 아픔을 민감하게 느끼며 연민이 많다. 감정 반응이 강렬하고 낭만적인 것을 추구한다. 신뢰와 온화함으로 대인관계를 맺는다.
성격상의 단점 : 상대방의 거절을 두려워하는데, 이는 소외당하는 느낌을 매우 힘들어하기 때문이다. 누군가에게 자신이 중요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거나 의미 없게 받아들여지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스스로 정한 기준에 도달하지 못했거나 뭔가 틀렸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기 때문이다. 또한 인내심과 감정 조절 능력이 부족하며, 습관적으로 상대방이나 사물을 비교하고 비판하기도 한다.
성장시키는 방법 : 안정감을 키워주고 일관된 행동 모델을 제시해 심한 감정의 기복에 시달리지 않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단체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자기만의 세계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도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감정의 기복이 심할 때는 먼저 스스로 평정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을 주고, 그런 다음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일상생활을 즐기고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있는 자신의 흥미를 채울 수 있도록 도와주며, 진실한 성취감을 맛볼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대화 요령 :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중과 관심을 받기 원하므로 친절하게 대해주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거나 비평하지 말고, 도전적인 면을 피하라. 단체의 목표를 향해 함께 노력하자고 권하고 명확한 목표를 정해서 실행하도록 해야 한다.
 

 

반기문

 

신뢰와 책임감이 크지만 자기주장이 강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방적으로 주문을 하기보다는 개성을 충분히 살려주어야 한다.

기본 특질 : 자유스러운 가운데 자기주장이 강하고, 낭만적이지만 자의식이 분명하며, 충성심과 강인함이 있다. 말 바꾸는 것을 싫어하고, 유머러스한 대화와 재치로 일을 처리하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성실하게 반응하고 직접적으로 대응한다. 반면 자신의 정서 조절 능력은 약한 편이다.
성격상의 장점 : 신뢰를 중시하고 책임감이 있는 사람이다. 다른 사람에게 충성을 다하고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우회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며 실험정신이 강하다. 인정이 많고 다른 사람의 능력을 보호하고자 한다. 관찰력이 뛰어나며 매사에 의문이 많고 기지와 위트가 뛰어나며 민감하다.
성격상의 단점 : 상대방이 도움을 요청했을 때 적극적으로 돕고자 하는 성향이다. 그러나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거나 상처를 받았을 경우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불안해한다. 또 이러한 상황에 대해 스스로 굴복했다고 여길 경우 심한 무력감에 빠지기도 한다. 자신이 의지하고 따르는 사람으로부터 호의적인 반응을 얻지 못하면 아예 그들과의 교유를 단절해 버리기도 한다.
성장시키는 방법 : 자기 자신이 인생의 주인공이라는 생각이 들도록 배려해야 한다. 자신감을 갖고 상대방과 외부세계에 대해 믿음을 갖도록 유도한다.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나 불안감 역시 생활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진심으로 받아들이도록 교육해야 한다. 상대방에 대한 의심이나 두려움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바쁘게 움직이는 것이 근심과 걱정을 줄이는 방법임을 알려준다. 대항하거나 도피하는 것은 두려움의 표현이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정면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대화 요령 : 자기만의 스타일과 창의적인 표현을 인정하고 존중해 주어야 한다. 풍부한 상상력을 발현시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고 내면의 상태를 중시하고 평형을 유지하도록 배려해야 한다. 진심으로 자녀의 특성을 이해하고 받아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두형문

 

용감하고 용의주도하지만 자신의 약점을 두려워한다. 따라서 온유한 방식으로 대화를 풀어나가야 한다.

기본 특질 : 매사에 엄격하고 합리적이며 공평하다. 인격을 중시하고 노력을 많이 하지만, 간혹 극단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용감하며 목표 주도형이다.
성격상의 장점 : 용감하고 과감하며 공정하고 다른 사람들의 능력을 보호해 주는 타입으로, 사람을 끄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우정을 중시하며 생각이 깊다.
성격상의 단점 : 고집이 세고, 비평적이기도 하며, 유약함을 싫어한다. 자신의 약점이 드러나는 것을 극히 두려워하고 부정확한 것을 싫어한다. 남에게 의지하거나 도움받는 것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이 강하며, 이를 몹시 꺼려한다. 다른 사람에게 존중받지 못하거나 무시당하는 것을 못 견뎌한다. 단체생활에 화합하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이 강하며 과도하게 존엄성을 중시한다.
성장시키는 방법 : 다른 사람에게 도움받기를 꺼려하는 것은 자기 내면이 약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인지시키고, 상대의 호의에 대한 과도한 거절은 상대에게 압박감이나 상처를 줄 수도 있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자신의 연약함은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도구이므로, 자신의 약점에 대해 너그러운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행동하기 전에 먼저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본인의 의사와 다른 경우 적당한 방법을 찾아내 대처하고 내면의 평정을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대방의 관심과 사랑을 받아들이고 대화하는 데 적당한 방법을 모색하도록 격려한다. 자신을 보다 가볍고 유연한 상태로 만드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적당한 기회를 제공한다.
대화 요령 : 매사에 목표를 분명히 하고 결과를 명시해야 하며 개성을 존중해 주어야 한다. 지도자적인 성향을 활용해 자신에게 주어진 권한의 범위를 최대한 분명하게 명시해 주는 것이 좋다. 온유한 방식의 질의문답 형태의 대화법이 효과적이다. 내성적이기 때문에 외형보다는 내면의 세계를 중시한다. 따라서 칭찬은 공개적으로 하되 지적은 개별적으로 해서 자존심을 지켜줘야 한다.

 

 

쌍기문

 

적응 능력이 강하고 긍정적이지만 효율성이 떨어지는 면도 있다. 따라서 지시는 명확하게, 계획은 엄격하게 관리해 주는 것이 좋다.

기본 특질 : 다른 사람을 언제나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며, 안정적인 인생을 선호하고 중용의 도를 추구한다. 남을 도와주는 것을 즐기고, 직접적으로 거절하는 것을 힘들어하며, 완벽주의적인 경향이 있고 매사에 생각이 많다.
성격상의 장점 : 자신이 주도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몸으로 실천한다. 책임감이 강하고 조정 능력이 탁월하며, 환경이나 상황에 따른 적응 능력이 뛰어나 새로운 것을 쉽게 받아들이며 사랑이 많다.
성격상의 단점 : 어떤 일을 하는 데 있어서 충돌과 대립을 두려워하는데, 이는 본인의 입장이 곤란해지는 상황이나 불편한 감정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스스로의 에너지를 낭비하는 일 혹은 정신적으로 상처를 입는 일을 꺼려하며, 어떤 중대한 결정을 할 때 생각이 너무 많아 때를 놓치거나 효율이 떨어지기도 한다. 거절하기를 어려워하고 잡다한 일이 너무 많아 시간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다.
성장시키는 방법 :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과 즐거워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힘들거나 화가 났을 때 자신의 불만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자신이 정말 소중한 사람이라는 것을 일깨워줘야 한다. 스스로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행동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도록 주의를 환기해 준다. 정말로 먼저 해야 할 일과 나중에 해도 되는 일에 대한 우선순위와 시간 안배를 정확히 하고 있는지 점검해 준다. 다른 사람을 사랑하듯 자신을 사랑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일깨워야 한다.
대화 요령 :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결정하도록 하라. 지시는 명확하게 하고 계획은 엄격하게 관리해 주어야 한다. 평소 은연중에 자신의 생각이나 내면의 느낌이 표출될 수 있기 때문에, 아이가 평소에 하는 말을 경청하고 적당한 시기에 결정하도록 유도하라.

 

 

2. 지문 유형에 따른 미래의 직업


내 아이에게 딱 맞는 역할, 타고난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은 과연 무엇일까?

 


호형문 _ 안정형. 공무원 등 안정적인 직업

정확한 지시 및 정해진 규범대로 일하는 보수적인 타입이므로 실무적인 일에 적합하다. 새로운 도전보다는 기존의 안정적인 분야를 선호하며, 낯선 사람에게 자기의 생각이나 가치를 표현하는 데 익숙하지 않다. 안정성을 추구하고 자기주장을 관철시키기보다 주어진 규범에 따라 일하기를 좋아하므로, 사무적이고 정확한 관리 능력을 필요로 하는 직장에서 자신의 특기를 발휘한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재무관리나 조직관리 및 사무 진행에 적합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새로운 업무나 사람에 대해서는 한 걸음 뒤로 물러서며 부끄러움을 잘 타고 소극적이지만, 일단 시작하면 매우 안정적인 집행 능력을 발휘한다. 새로운 업무라도 일단 경험해 보고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기존의 사람들과 적절히 협력하여 공정하고 정확한 집행자가 된다.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몹시 싫어하며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도전을 기피하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보면 정열을 표출하는 일이 드물지만, 일단 선택한 일에 대해서는 쉽게 변하지 않는 태도를 견지한다. 외적으로 볼 때는 경쟁을 싫어하고 매사에 사무적이며 엄숙하고 안정된 정서를 가지고 있다. 내성적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적합한 직업 부류
_ 사무 능력을 요하는 분야, 안정적인 기술 분야
_ 전원에서 일할 수 있는 직업
_ 경리, 자료관리, 환경 관련 사업, 전문적인 농부, 운전기사
_ 공무원, 교사, 의사, 전문기술직, 회계사, 세무사

 


정기문 _ 감성형. 교사나 고객관리자 등 친절과 성실성이 필요한 직업

감수성이 풍부하며 매우 친절하지만 일처리나 대인관계에서 감정적일 때가 많다.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좋아하며 무리한 요구나 엄숙한 환경을 피한다. 단체생활 자체를 좋아할 뿐 아니라 열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봉사한다.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밖으로 드러내 표현하기를 좋아하고, 남을 적극적으로 이해하려고 하며, 직장에서의 친화력도 뛰어나다.
자신을 지지해 주는 환경일 때 일의 능률이 오르고 신나하지만, 반대의 경우 능률이 많이 떨어진다. 남의 말에 귀를 잘 기울이며,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고, 미래에 대한 대비보다는 현실을 주로 바라보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매우 창의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판단력이 약하고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서는 견디기 힘들어하며 구속을 싫어하는 면은 직장생활에서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정해진 삶을 좋아하며, 감정 표현이 적극적이어서 좋고 싫음이 얼굴에 분명히 드러난다. 때에 따라서는 약간 안일하고 피동적인 경우도 있으며, 스트레스를 극복해 내는 힘이 부족하고 분위기에 따라 쉽게 변하며 추진력이 약하다. 특히 장기적인 계획과 목표 수립을 어려워한다.


적합한 직업 부류
_ 서비스업, 교육, 기술
_ 인사관리 및 고객관리
_ 교사, 엔지니어, 예술가, 가수
_ 사회사업, 간호사, 특수교육
_ 컨설턴트, 서비스관리, 마케팅 매니저

 

 

반기문 _ 창의형. 작가나 감독 등 창의적이고 개성이 강한 직업

일반인들과는 많이 다른 사고방식의 소유자다. 일처리와 대인관계에서도 창의적인 성향이 매우 강하다. 일반적인 규범과는 다른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긴장하게 만들기도 한다. 독특한 자기만의 스타일을 발산하고 색다른 아이디어로 신선함을 주며 창의적이고 개성이 강하다. 연구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연구개발 분야에서 우수한 능력을 발휘한다. 흥미 있는 일에 몰두하여 연구하고 질문하기를 좋아하고, 그에 따라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창의적이며 선택 능력이 탁월하고 민감한 관찰력의 소유자다. 특히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중시하며 자기주장이 확실하고 의지력이 강하다. 일반인들과는 다른 독특한 주장을 많이 하기 때문에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쉽게 받아들여지지 못하며, 그런 사람들과 대화하기를 힘들어한다. 자기 내면의 세계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편이다.
외적으로는 의문이 많고 관찰력이 세밀하며 도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으며, 뛰어난 유머감각으로 좌중을 압도하기도   한다.
 

적합한 직업 부류
_ 창의적인 시장 개발, 일반적인 개념에서 벗어난 독특한 기술개발 분야
_ 연구단체 및 개발부
_ 작가, 예술가, 영화감독
 

 

두형문 _ 전략형. 장군이나 CEO 등 주도성과 담판 능력이 필요한 직업

두형문은 넓은 시야에서 사고하고 자기주관이 분명하며, 일이나 대인관계에서 명확한 결과를 요구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독립 창업하는 경우가 많고 회사의 CEO, 마케팅 매니저, 국가 지도자 등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다. 도전적인 목표를 좋아하고 지도력이 특출하며 관리 능력이 탁월하다는 얘기다. 특히 내면이 강하고 독립적이며 경쟁이 치열한 직장 환경에서 더욱 확실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거의 습관적으로 많은 일을 리드해 나간다.
목표 지향적이며 개척정신이 투철하고 한번 설정한 목표는 철저한 계획과 관리로 반드시 이뤄낸다. 실질적인 물건을 좋아하며 복잡한 문제에 도전해 해결하기를 즐긴다. 목표를 향해 불도저처럼 나아가는 사람을 연상하면 두형문의 직업적인 특질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정서적으로는 매우 침착하며 객관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일을 판단하고 관리하며 효율을 중시한다. 관계를 맺기가 쉽지 않지만, 한번 신뢰를 맺으면 의리가 강하다. 자기 내면의 세계를 표현하는 데는 적극적이지 못하지만, 한번 일을 추진하기 시작하면 대단히 열정적이며 패기가 넘친다. 강하고 활기차고 성과를 창출해 내며 사실적인 것을 추구한다. 깨끗하고 엄격하며 세밀하다. 감정 조절을 잘하며 깊고 멀리 볼 줄 알고, 용감하고 담대하다. 하지만 때로 극단적인 성향을 드러내기도 한다.


적합한 직업 부류
_ 주도성과 담판 능력을 필요로 하는 일
_ 기획 혹은 관리부
_ 연설가, 엔지니어, 지휘자, 군 장성, CEO
_ 독립 창업 경영인

 

 

쌍기문 _ 조정형. 기획자나 컨설턴트 등의 정보 수집과 경쟁이 강한 직업

생각이 많은 쌍기문은 정보를 수집하는 일에 능하다. 일처리나 대인관계에서도 가장 원만한 방법을 찾아 해결한다. 충돌과 대립을 피하면서 다방면으로 생각하고 결정하는 합리적인 성향이다.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우수한 정신력을 바탕으로 자기의 주장을 내세우기보다는 전체의 의견을 수렴하는 편이며, 경쟁이 치열한 직장 환경에서 더욱 탁월한 기질을 발휘한다.
조정 능력과 협조성이 좋으며, 평소에도 생각을 많이 하고 일에 있어서 늘 공평을 기한다. 적응 능력이 좋고 변화에 도전하기를 즐기며, 환경에 따라 목표와 입장을 쉽게 바꾼다. 오랜 생각 끝에 내린 결론이라고 하더라도 상황에 일치하지 않으면 비교적 쉽게 바꾸는데, 이는 유연성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변덕으로 보이기도 한다.
생각이 많아서 최종 결정을 내리기가 어렵지만, 전체를 조합하고 새롭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내는 능력이 탁월하다. 관찰을 잘하고, 평가와 질문이 많다. 감정 조절을 잘하고 다방면으로 생각하며 직접적인 입장 표명을 피한다. 동시에 여러 가지 목표를 세우지만, 그에 비해 목표 달성 능력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적합한 직업 부류
_ 기술 분석 및 컨설턴트, 전문 평론가
_ 기획자, 공무원, 비서 및 조력자 역할
_ 중개인(무역·사무), 외교관, 전문 가이드
_ 독립 창업 경영인
_ 협회 및 단체활동

내용출처 : 인터넷 검색

 

 

 

일단 지문에 대해 설명해 드리죠...

지문은 지두(指頭)를 물체상에 눌러 찍음으로써 물체 표면에 남는 이 무늬에 의한영상을 말하기도 한다. 융선이라는 것은 땀샘의 출구(땀구멍) 부분이 주위보다 융기하고, 또한 이것이 서로 연락하여 밭고랑 모양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이런 땀샘과 지문과의 관계는 이미 1686년 해부학자 M.말피기에 의하여 밝혀졌는데, 1823년에 체코의 생리학자인 J.E.푸르키네가 지두의 촉각에 대한 연구논문 속에서 지문의 형태를 9형으로 나누었다.

이 무늬는 평생 불변이며 또한 만인이 같지 않으므로 이것을 증거로 하여 개인식별(個人識別)에 이용하고, 또 그것이 유전성(遺傳性) 형질인 데서 이것에 대한넓은 유전학적 및 인류학적 연구가 실시되었다.

1. 지문과 개인식별
옛날부터 이집트 ·터키 ·인도 ·중국 그 밖의 나라에서는 지두의 인장을가지고 유력한 증거로 하는 관례가 있었는데 이것이 다소 과학적인 연구가 실시된 것은 19세기 후반 이후이며, 영국의 W.허셀은 1858년 인도의 벵골 지방의 민정사무를 담당하고 있었을 때 연금(年金) 지급의 공문서에 수급자 각자의 지문을 찍어서 개인식별을 하고, 그 후 지문법을 관할 교도소에 적용하여 그 연구의 총괄을 80년 11월 22일 《네이처(Nature)》지에 투고하였다.

이것보다 조금 앞서 같은 해 10월 28일 H.폴스가 같은 잡지에 지문의 개인식별상의 중요성을 강조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폴스는 스코틀랜드의 의사인데 일본에서의 무인(拇印) 등에 흥미를 가지고 지문을 연구하였다.

그 후 같은 영국의 유권학자 F.골턴은 허셀이 모은 자료를 상세히 연구하여 지문의 평생 불변, 만인이 같지 않다는 철칙(鐵則)이 확립되었다. 또 개인식별의 목적에 적합한 지문분류법도 고안되었다.

E.R.헨리는 인도의 벵골 지방의 공무원에서 런던의 경시총감(警視總監)이 된 사람인데, 골턴의 분류법을 개량하여, 현재 영국이나 미국을 비롯하여 세계 각국의 경찰 지문분류에 채용하고 있는 헨리식 지문분류법을 확립시켰다. 또한 지문분류법에는 독일의 함부르크의 경시총감이 된 로셔의 고안에 의한 왼손을 기준으로 하는 로셔법 또는 함부르크법이 있다.

2. 지문의 채취
지문 채취는 인쇄용 잉크를 롤러로 유리판 위에 엷게 펴고 그 위에 피채취자의 지두를 회전시키면서 잉크를 묻히고 그 지두를 지문원지(指紋原紙)의 해당 장소에 회전시키면서 지문을 찍는다. 그러나 시체의 경우나, 지문채취방법을 알려주기 어려운 어린이의 경우 등은채취자의 오른손으로 잉크를 묻힌 피채취자의 손가락을 잡고 이것을 채취자의 왼손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으로 된 오목한 데 놓은 원지 위에 그대로 단번에 찍는 방법을 취한다.

이것은 종전부터 사용된 찰흙이나 고무풀로 만든 배 모양으로 된 오목한 것을 쓰는 것보다 효과도 좋고, 익숙하면 신속하게 될 수 있다. 현장지문 채취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시행된다.

피부의 어디에나(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하고) 피지선(皮脂腺)이 있어 지두가 닿은 물체에는 그것에 의한 지방분의 인상(印象)이 찍혀 있다. 유리 ·도기 ·자기 ·철기 ·금속면 ·경질지(硬質紙) ·벽면 등은 특히 선명한 인상이 잘 찍힌다. 그러나 이것은 그대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지문이 묻어 있을 만한 곳에 미세한 알루미늄 분말을 뿌리고 그 다음에 붓[毛筆]의 털끝으로 여분의 분말을 묻혀 내면 융선 부분에만 알루미늄 분말이 남아서 명료한 지문이 나타난다. 바탕색에 따라 흑연 ·석송자(石松子) ·홍분(紅粉) ·숯가루 등 여러 가지 분말을 사용한다.

나타난 지문은 젤라틴지에 전사(轉寫)하여 영구보존한다. 잠재지문(潛在指紋)을 나타나게 하는 데에는 앞에서 말한 분말법 외에 요오드를 사용하는 증기법, 질산은용액이나 닌히드린 시약(試藥)을 사용하는 액체법 등이 있다. 각각 목적과 대상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엷게 미세한 먼지가 쌓인 유리면에 지두가 닿은 경우라든가 피가 묻은 손가락으로 물건을 만졌을 경우 등에는 특별한 현출법을 시행하지 않아도 그대로 지문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는 흔히 융기선과 홈의 관계가 거꾸로 되어 있어서, 언뜻 보아 다른 사람의 지문으로 잘못 보는 일이 있다. 이것은 앞의 경우에는 유리판 위의 먼지 분말이 융기선에 닿은 부분에서만 제거되며, 나중의 경우는 혈액이 융기선 사이의 홈부분에 차서 혈액에 의한 압날(押捺)이 생기기 때문에 나타난다. 이러한 지문을 역지문(逆指紋)이라 하는데, 역지문을 지문원지의 지문과 비교하는 데는 어느 한쪽의 상을 반전 현상해야 한다.

3. 지문형과 지문값
지문은 융기선의 배열 상황에 따라 궁상문(弓狀紋) ·제상문(蹄狀紋) ·와상문(渦狀紋)의 3종으로 크게 나누며, 경찰지문 분류에서는 나중의 두 가지를 다시 각각 5종 및 3종으로 세분류하고 이것들에 1에서 9까지의 지문값[指紋價]을 부여한다.

궁상문은 지두의 한쪽에서 시작된 융기선이 모두 다른 쪽으로 흐르고, 결코 원래 시작된 쪽에 되돌아오는 일이 없는 것. 모양에 따라 보통궁상문과 돌기궁상문으로 나누는데 지문값은 모두 1이다.

제상문은 융기선 중 적어도 1개는 다시 원래 시작한 쪽에 되돌아오는 것. 이것에 의하여 만들어진 제선(蹄線)의 개구가 엄지손가락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은 갑종(甲種) 또는 요골측 제상문(橈骨側蹄狀紋)이라 하고 그 지문값은 2이다. 제선의 개구가 새끼손가락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은 을종(乙種) 또는 척골측(尺骨側) 제상문이라 한다. 갑종 제상문은 궁상문과 더불어 빈도가 적으므로 그 지문가는 모두2라고 하는데, 을종 제상문은 상당히 많으므로 세분되어 있다.

즉, 그 지문가는 제선의 중심(內端)과 제선의 바깥쪽에 있는 삼각도(三角島:外端)를 연결하는 선(골튼선)이 1∼7개의 융기선을 잘랐으면 3, 그것이 8∼11개이면 4, 12∼14개이면 5, 15개 이상이면 6이다.

와상문은 융기선 중 적어도 1개는 그것이 시작한 쪽으로 되돌아올 뿐만 아니라, 다시 만곡이 계속되어 그 철부(凸部)를 기점쪽으로 향하게 된 것. 몇 개의 동심원(同心圓)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나선상으로 소용돌이를 만들고 있는 단순한 것도 있는데, 2개의 제상문이 같은 쪽으로부터, 또는 다른 쪽으로부터 시작하여 중앙에서 소용돌이 모양(巴狀)으로 맞물리고 있는 이중 및 쌍태(雙胎) 제상문, 와상문과 제상문이 복잡하게 조합되어 있는 복합문[變體紋]과 같은 복잡한 것도 있다. 경찰지문 분류상에서 와상문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와상문에는 2개의 삼각도[外端]가 있다. 지문원지를 향하여 왼쪽 삼각도에서 나온 추적선(追跡線)과 또 오른쪽 삼각도와의 관계로부터 와상문을 상류(上流) ·중류 ·하류 와상문의 3종으로 나누고, 이들의 지문값은 7, 8, 9이다. 지두가 없어서 지문을 채취할 수 없는 것의 지문값을 0이라 하고, 각 손가락의 지문값을 집게 ·가운데 ·약 ·새끼 ·엄지손가락의 순으로 적으면 모든 사람은 한 손에 대하여 00000번에서 99999번까지의 10만종으로 분류되게 된다. 오른손에 대한 것을 정표준번호(正標準番號), 왼손의 것을 부표준번호로 하는 것이 헨리식이며, 그 반대가 되는 것이 로셔식이다.

4. 일지지문법
일지지문법은 단 1개의 지문에 대하여 거기에서 볼 수 있는 특징으로부터,그 지문에 따라 그 사람을 분류하려는 것. 런던지문국의 H.배틀레이가 고안한 것이 유명하지만, 그 밖에 여러 가지 개량법이 있다.

본질적으로는 모두 중심의 모양이나 이것과 삼각도와의 위치적 관계, 어느 일정구역 내에 있는 특징 등을 분류의 기초로 하는 것이다. 1,2개의, 또한 불완전한 파편으로서의 지문밖에 입수하지 못하는 현장 지문의 개인식별에서는 십지지문법에는없는 위력을 발휘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것을 펀치카드식으로 하여 해당자의 서랍에 전동식 추출기(電動式抽出器)를 사용하면 뚜렷이 능률화된다.

5. 지문과 유전
지문은 유전적인 형질에 속한다. 예를 들면, 와상문이 많은 양친으로부터는와상문이 많은 자녀가 태어난다. 융기선값(중심과 외단 사이에 개재하는 융기선 수)이 큰 양친으로부터는 융기선값이 큰 자녀가 태어난다. 이것의 역(逆)도 또한 같다. 지문의높이와 폭을 일정한 방식에 의해 정하고 이것에서 지문을 원형 ·중간형 ·타원형의 3형으로 나누면, 타원형의 것은 원형에 대하여 우성(優性)의 경향을 나타낸다.

지문의 제상문에 갑종(요골측)과 을종(척골측)의 구별이 있는 것처럼, 와상문도 또한 좌우의융기선 수의 비교 등으로부터 이러한 지문방향을 정할 수 있는데, 이 지문방향에도 친자간(親子間)에 유전적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들은 어느 정도의 제약을 가하면서 실제의 친자감정(親子鑑定)에도 이용되고 있다.

6. 지문의 민족차
세계의 각 민족은 궁상문 ·제상문 ·와상문의 출현율에 있어서 각각 특유한 분포를 나타낸다. 즉, 동양계(東洋系)의 인종에서는 궁상문은 2.2∼3.3 %, 제상문은 45∼52 %, 와상문이 45∼52 %인 데 대하여, 유럽계의 인종에서는 궁상문과 제상문이 많고 와상문이 적다.

남양계(南洋系)에서는 궁상문이 동양계보다 더 적다. 이 민족차를 나타내는 데는 임의의 두 가지 문형의 비로 나타내기도 한다. 궁상문 대 제상문(골튼 지수), 궁상문대 와상문(단크마이엘지수) 및 와상문 대 제상문(고바타지수)이 있다. 또 서로 60 °로 교차하는 3개의 좌표상에 궁상문 ·제상문 ·와상문의 출현율을 잡고 각 민족을한 점으로 표시하여 민족점(民族點)으로 하는 구분도 있다.


덧글

댓글 입력 영역


행발소 NET